▲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尋牛(심우) 
                                          叙光 張喜久
        물 깊고 산은 높아 수목이 울창하고
        골짜기 긴 언덕에 잃은 소 볼 수 없네
        호랑이 달아나더니 우르렁거린 백룡만.
        洋洋漲海動魚尋    水底山高樹木深
        양양창해동어심    수저산고수목심
        萬壑長崖牛不見    風生虎走白龍唫
        만학장애우불견    풍생호주백룡금

‘큰 창해 움직인 고기 울음 깊고 산은 높아, 
산골짜기 소를 못봐 호주백룡 울어 대고’

십우도(十牛圖)는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어 심우도(尋牛圖) 또는 목우도(牧牛圖)라고도 한다. 그 첫 번째인 [심우尋牛]는 소를 찾으려는 동자가 망과 고삐를 들고 산 속을 헤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처음 발심(發心)하게 된 수행자가 소를 찾겠다는 열의로 참 공부에 임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넓고도 큰 창해에서 움직이는 고기를 찾고, 물은 깊고 산은 높은데 수목이 우거졌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많은 산골짜기 긴 언덕엔 소를 볼 수 없고(尋牛)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넓고도 큰 창해에서 움직인 고기 찾아 보고 / 물을 깊고 산은 높은데 수목이 우거졌네 // 많은 산골짜기와 긴 언덕엔 소를 볼 수가 없고 / 바람 부니 호랑이는 달아나고 백룡은 우르렁거려서 우네]라는 시상이다. 상상력은 시의 몸통과 같다. 시인의 맑고 고운 상상력을 들춘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자기 본심인 소를 찾아 나서다]로 의역된다. 사람은 자기 본성을 잊고 있다. 진정한 나를 찾는 결심의 단계를 말하는 것이겠다. 이는 곧 [참 나]를 찾고자 처음으로 발심하는 초기단계를 뜻한다.
 시인은 자연이라는 산과 바다에 나가 무언가를 찾겠다는 시심을 부여잡게 된다. 넓고도 큰 창해에서 움직이는 고기를 찾아 나섰고, 물은 깊고 산은 높은데도 수목이 우거졌다고 했다. 넓은 대지라는 자연에서 [참 나]를 찾아야 한다는 불심을 부여잡기 위한 탐색과정이다.이런 과정이 허공에 두-웅 떠있는 것만은 아니다 노력하면 쉽게 잡힐 수 있는 것이라는 뜻이겠다.. 
 화자는 소를 찾겠다는 마음은 불타(佛陀)있지만 다른 짐승이 나타내 방해를 부린다는 시낭詩囊은 더욱 무거워만 보인다. 많은 산골짜기와 긴 언덕에서는 소는 찾아 볼 수 없고, 바람이 불어오니 호랑이는 달아나고 백룡이 우르렁 댄다고도 했다. 그렇지만 소를 찾아야 한다는 집념은 계속된다.
 불가 선시禪詩 십우도에서는 [아득히 펼쳐진 수풀 헤치고 소를 찾아 나서니(茫茫撥草去追尋) / 물은 넓고 산은 먼데 길은 더욱 깊기만 하구나(水闊山遙路更深) // 힘이 빠지고 피로해서 소를 찾을 길은 없는데(力盡神疲無處覓) / 오로지 저녁 나뭇가지 매미 울음만이 들리네(但聞楓樹晩蟬吟)]라고 했다.

【한자와 어구】
洋洋: 넓고도 넓다. 漲海: 창해. 動魚: 움직이는 고기. 尋: 찾다. 水底: 물이 깊다. 山高: 산이 높다. 樹木: 수목. 深: 깊다. 수목이 우거지다. // 萬壑: 많은 골짜기. 長崖: 긴 언덕. 牛不見: 소를 보지 못하다. 風生: 바람이 일다. 虎走: 범이 달리다. 白龍: 백룡. 唫: 우르렁 거리며 울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