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망기 발행인

노동계와 정치권 일각에서 중대재해기업 처벌법 제정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현장근로자 3명이 숨지는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지난 24일 오후 4시께 광양제철소 산소밸브 조작 과정에서 폭발과 화제가 발생해 현장에 있던 30대와 40대, 50대 직원이 사망한 것. 광양제철소에서는 지난 해에도 폭발사고가 발생해 현장에 있던 직원들이 크게 다치는 사고가 일어났으며, 인명을 앗아가는 중대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거대한 공장규모 만큼이나 사고의 위험은 항상 도사리고 있지만, 잇따른 사고에도 불구하고 현장이나 종사자들의 안전의식이나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향상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안전한 일터에 대한 요구는 생명권과 직결된 것으로 어떠한 가치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모든 사고가 그렇듯 사고란 부지불식간에 작은 실수 하나도 큰 사고로 연결된다. 그렇지만, 인간의 실수가 사고원인의 전부일 수는 없다. 안전한 환경에서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불의의 사고로 사망한 노동자들은 한 가정의 가장이었다. 사랑하는 가족의 배웅을 받으며 출근길에 올랐다가 귀가하지 못하는 가장을 둔 유가족의 슬픔을 어찌 헤아리랴. 기업 입장에서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고 항변할 수 있겠지만, 사고는 엄연한 현실이고, 그 결과는 감당하기 힘들 만큼 끔찍하다. 안전은 구호만으로 확보되는 것은 아니다. 꾸준한 투자와 사람의 의지가 결합되어야 한다. 안전을 위한 투자가 생명을 지키기 위한 투자라면 그러한 투자에 비용을 아껴서는 안된다. 이윤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의 생리상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보다 사고예방을 위한 투자가 훨씬 더 많을 경우 이를 기피하고, 사고를 감수하겠다는 심리도 있을 수 있다. 이는 ‘극한의 원가 절감’을 내세우는 기업일수록 더하다. 그렇지만, 포스코는 단순히 이윤만 추구하는 기업이어서는 안된다. 국민기업이라는 칭호를 받아왔고, 그 탄생 자체가 특별하기 때문이다. 경영자 입장에서 당장의 경영 성과에 급급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성과가 생명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 산재를 덮고, 은폐하기에 급급한 풍토 속에서 일터의 안전은 확보될 수 없다. 안전은 안전관리자의 수준을 뛰어넘지 않는다. 최고의 안전한 일터는 그 결과로 입증해야 한다. 비극적인 사고가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도록 철저한 원인분석과 이를 보완하는 설비 투자가 이어져야 한다.
산업현장에서 유명을 달리 한 고인의 명복을 빈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